서울 성북동 가볼만한 곳
성북동은 말 그대로 도성의 북쪽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이 곳에서는 일제 강점기와 해방 전후로 많은 역사유적지들이 있습니다. 예쁜 카페도 많으니 주말 나들이나 데이트 코스로도 손색이 없지요.
만해한용운 심우장(尋牛莊)
성북동 심우장은 독립운동가이자 시인이며 민족대표 33인 중 한 분이셨던 만해(萬海, 卍海) 한용운 선생이 말년을 보냈던 옛집입니다. 심우장이라는 이름은 선종(禪宗)의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는 과정을 잃어버린 소를 찾는 것에 비유하여 나를 찾는다는 뜻의 심우(尋牛)에서 따온 것입니다. 대한민국 사적 제 550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주차는 근처 공영주차장을 이용하거나 바로 건너편에 블랑제메종 북악이라는 카페 주차장을 이용해도 될 것 같아요. 블랑제메종은 발렛요금 3천원으로 2시간까지 주차할 수 있고 15분당 천원씩 추가됩니다.
만해한용운옛집 심우장이라는 표지판이 걸려 있고 그 앞에 한용운 선생의 동상이 앉아 있어 찾기는 쉽습니다.
![]() |
심우장 |
심우장은 원래 연중무휴로 09:00-18:00까지 관람할 수 있고 시간 내에 신발을 벗고 집 안으로 들어가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습니다. 이 곳에는 선생의 글씨, 연구논문집, 옥중공판기록 등이 보존되어 있습니다.
![]() |
심우장 |
길상사는 원래 대원각이라는 요정이었는데, 요정이라는 것은 기생을 두고 음식을 파는 고급 요리점을 의미합니다. 대원각은 유신 시절 3대 요정으로 그 유명세가 대단했지요.
대원각의 안주인이었던 김영한은 노년에 법정스님의 <무소유>를 읽고 큰 감명을 받아 법정스님에게 대원각의 7천여 평의 대지와 40여채의 건물을 시주하여 절을 세워달라고 간청하였습니다. 법정스님은 당연히 사양하였으나 10년 동안 이어진 간청으로 그 뜻을 받아들여 마침내 길상사가 세워지게 됩니다.
길상사는 요정이었던 대원각 건물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만큼 보통 사찰과 달리 일주문이 있어야할 자리에 팔각지붕을 얹은 대문만이 있습니다.
![]() |
길상사 입구 |
사찰 내부도 흔히 볼 수 있는 절의 형태와는 많이 다릅니다. 대규모의 설법이 이루어지는 전각인 설법전은 콘크리트로 지어져 현대식 건물과 다를 바가 없습니다.
나오는 길에 소원지가 있어 부처님께 소원 편지도 쓰고 나왔네요(무료).
![]() |
길상사 소원지 |
성북동 북악 스카이웨이
그리고 이곳은 서울 전경을 조망할 수 있는 북악 스카이웨이입니다. 길상사에서 가까워서 코스로 들르기 좋습니다.
![]() |
주차장이 갖춰져 있습니다. |
![]() |
북악스카이웨이 종합안내도 |
![]() |
북악 팔각정 |
북악 스카이웨이에서 롯데타워와 남산타워도 보입니다.
성북동은 사람 많이 붐비지 않아 좋고 자연 속에 있어 공기도 맑아 드라이브하기에도 손색이 없는 것 같네요. 이제 날도 많이 풀렸으니 이번 주말에는 서울 성북동으로 주말 나들이 떠나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