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의 조건에서 시작하는 힘
완벽주의는 완벽하지 않은 것은 그 어떤 것도 받아들이지 못하는 성향을 일컫는다. 무슨 일이든 완벽하게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자꾸만 집에 있고 싶어 하고, 기회를 움켜잡지 않으려 하고, 할 일이 있어도 늑장을 피우고, 실제로는 아닌데도 마치 형편없는 인생을 살고 있는 것처럼 느낀다.
우리 인생에 불완전함을 받아들여라. 불완전함은 나쁜 것이 아니다. 그것은 자유다. (단, 결함이 없다는 뜻의 '완벽함'은 나쁜 것이 아니다. 문제는 '완벽주의'다)
지금 적극적으로 실행하는 괜찮은 계획이 다음 주에 실행할 완벽한 계획보다 낫다.
-조지 S.패튼-
우리는 부분적인 성공을 '실패'로 여기며 그 뜻마저 바꿔버리는 치명적인 오류를 저지른다. 완벽주의자는 작은 가치나 작은 전진을 받아들이지 못한다. 우리는 '실패'가 우리 자신에 대해 부여하는 의미를 두려워한다. 완벽주의는 우리의 자존심과 희망이 크게 다치지 않도록 보호해 준다. 그런데 보호를 받는 것이 언제나 최선은 아니다. 보호는 보호받는 대상을 더욱 약하게 만든다. 실수와 실패는 단기적으로는 역경이지만 긴 안목에서 보면 우리를 더욱 크게 성장시켜 준다. 우리가 원치 않는 것을 견뎌내고 그럼으로써 더욱 강해질 수 있다면, 차라리 그 원치 않는 것을 막아줄 '바람막이'를 치워버리는 것이 훨씬 낫다.
감정과 가장 강하게 연결되는 것은 생각이 아니라 행동이다. 생각이 아닌 행동이 감정을 바꿀 가능성이 두 배나 높다. 생각과 감정을 먼저 고쳐먹음으로써 행동을 바꾸는 것보다, 행동을 먼저 취한 다음에 정신과 감정을 바꾸는 편이 더 쉽다.
비완벽주의는 잘하기보다는 일단 하는 것을 우선으로 삼는다. 그렇다고 좋은 결과를 배제하지는 않는다. 비완벽주의의 전제이자 열쇠는 기준을 낮춘다고 해서 결과가 나빠지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스트레스는 더 적게 받으면서도 훨씬 더 훌륭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되든 안 되든 여러 상황에서 긍정적인 행동을 더 많이 하기 때문이다.
나는 이상하고 완벽하지 않은 것들 속에서 언제나 아름다움을 발견한다. 그것들이 훨씬 흥미롭다.
-마크 제이콥스-
인생에는 온갖 사고와 사건이 일어나기 때문에 완벽한 계획과 완벽한 시나리오는 존재할 수가 없다. 완벽하지 못한 자신이, 세상이, 그리고 타인이 우리에게 아주 많이 그리고 지속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이해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비완벽주의가 추구하는 인생의 과정이다.
무언가를 할 때의 핵심은 무언가를 한다는 그 자체다.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어떤 행동을 습관화하면 그것이 인생을 영원히 바꾼다. 행동의 비결은 행동을 시작하는 것이다. 원하는 결과를 얻는 유일한 방법은 과정이 이끄는 대로 차분히 나아가는 것이다.
빠른 결정, 빠른 실행력이 답이다. 결정을 내리는 데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만큼 정보가 많이 필요하지 않다. 계속해서 정보를 원하는 사람일수록 자신감에 문제가 있을 소지가 크다. 자신감이란 언제나 완벽한 결정을 내리지는 못하지만 변화하는 상황에 필요할 때마다 적응할 능력이 있다고 생각하는 스스로에 대한 신뢰를 말한다.
모든 길에는 저마다 가치가 존재한다. 어떤 길은 다른 길보다 훨씬 평탄하고 수월하다. 그러나 최고의 길을 찾는 것보다는 전진하는 인생을 만드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 가장 최악의 선택은 아무 행동도 하지 않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