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 10/11에는 이미 녹화 기능이 있다
유튜브 영상 제작을 준비하면서 컴퓨터 화면을 녹화해서 만든 영상들이 눈에 띄더군요. 그건 대체 어떻게 하는 건지 찾아봤더니 프로그램을 따로 설치하지 않아도 내 컴퓨터에 이미 있는 기능이었습니다. 바로 Xbox Gae Bar을 이용한 방법인데요, 이 앱은 게이머들이 자신의 플레이 영상을 녹화하고 싶은 욕구로 인해 만들어진 것이라고 하네요.
Window 로고 키 → 설정 → 게임을 클릭하면 Xbox Game Bar 설정을 열 수 있습니다.
![]() |
윈도우 로고키를 누르고 설정으로 들어간 후 게임을 클릭합니다. |
저는 게임을 하지 않아서 쓸모없는 기능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Xbox Game Bar 항목에서 끔으로 해놓은 상태여서 켬으로 다시 바꿔줬습니다.
![]() |
키보드의 Window 로고 키 + G를 눌러 Xbox Game Bar를 실행시킵니다. |
위젯 메뉴를 클릭하면 각 기능별 별 모양 아이콘을 온오프 하여 Game Bar Home에 즐겨찾기로 추가하거나 숨길 수 있습니다. 자신에게 필요한 기능을 설정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 |
Xbox Game Bar의 위젯 메뉴 |
Xbox Game bar 키보드 단축키는 아래와 같습니다.
![]() |
단축키는 Window 로고 키 → 설정 → 게임 → Xbox Game Bar에서 설정하거나 윈도우 로고 키 + G를 눌러 Game Bar Home를 열고 설정 → 바로가기에서 사용자 지정으로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 |
Game Bar Home의 설정에서도 단축키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
저는 화면 캡처와 화면 녹화 기능이 필요하니 캡쳐 위젯을 살펴보겠습니다. 캡처 위젯의 맨 앞에 있는 아이콘부터 스크린숏 찍기, 마지막 10분 녹화, 녹화 시작/중지, 마이크 녹음 시작/중지 아이콘입니다. 각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키보드 단축키를 쳐서 실행합니다.
스크린숏을 찍으면 캡처된 화면 사진은 내 PC > 동영상 > 캡처 폴더 안에 저장됩니다. 캡처 저장 위치는 캡처 위젯의 모든 캡처 표시 → 파일 위치 열기를 클릭하여 확인하거나, Window 설정 → 게임에서 캡처의 폴더 열기를 클릭하여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다른 폴더에 저장하는 방법은 내 PC > 동영상 > 캡처 폴더를 PC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어디로 옮겨도 캡처 폴더 안에 저장되기 때문에 폴더를 아예 바꾸는 것은 안되고요.
이제 녹화를 해볼께요. 캡처 위젯의 녹화 버튼을 클릭하여 시작합니다. 단축키 윈도우 로고 키 + Alt + R입니다. 그런데 'Windows 데스크톱이나 파일 탐색기에서는 게임 기능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뜨면서 녹화가 되지 않습니다.
![]() |
데스크톱이나 파일 탐색기에서는 게임 기능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
Xbox Game Bar는 게임 녹화에 최적화된 기능이기 때문에 게임이 아닌 항목을 선택했을 때 이런 안내 메시지가 뜨는 것인데요, 예전에는 설정 → 게임으로 기억에 체크하면 게임이 아니더라도 컴퓨터 화면 캡처/녹화가 되었는데 지금은 체크해도 녹화가 안됩니다.
다만 윈도우 데스크톱이나 파일 탐색기만 아니면 캡처 및 녹화가 가능합니다. 녹화하고 싶은 대상이 전체 화면 상태가 아니라도 대상 외의 바탕화면 등은 캡처/녹화되지 않고, 여러 개의 대상이 화면에 띄어진 상태라도 가장 앞에 띄어진 대상만 캡처/녹화되어요. 예를 들어 그림판을 수십 개 띄어놓았다면 제일 앞에 있는 그림판만 녹화되고 이 그림판을 닫으면 녹화도 자동으로 종료됩니다. 최대 녹화 길이는 4시간이고 화질은 30 fps(권장)와 60 fps 중 선택할 수 있어요. 화질이 높을수록 PC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고요. 마우스 커서를 캡처할지 여부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게임 바를 실행하고 바탕화면이나 실행 창이 아닌 다른 곳을 마우스로 클릭하게 되면 캡처 위젯이 자동으로 사라지는데 캡처 위젯의 오른쪽 상단의 고정을 클릭하여 화면에 계속 보이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시 끄고 싶으면 윈도우 로고 키 + G를 치고 게임 바를 다시 실행한 다음 고정을 해제하면 되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