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 안쓰면 손해 ktM 모바일 가입 후기

알뜰폰 한번 써볼까

알뜰폰에 대해서는 많이 들어는 봤지만 내가 쓸 일은 없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우연히 알뜰폰으로 월요금을 5천 원을 낸다는 글을 보게 되어 호기심이 일었다. 

그동안 SKT의 뉴 T끼리 맞춤형 27,830원짜리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부가세 포함 매월 약 29,000원 정도가 청구된다. 그런데 폰으로 뭘 하는 게 별로 없어(폰은 서브 카메라일뿐) 많은 데이터를 쓸 일이 없는데다가 요즘은 어딜 가나 와이파이가 잘되어 있어서 이 3만 원이 너무 아깝다는 생각이 들었었다. 폰 요금을 좀 줄여보겠다고 12,100원짜리 표준 요금제로 바꾼 적이 있는데, 별로 쓰는 것 없이 데이터 요금 폭탄을 맞은 기억이 있다.  

불필요한 것들을 다 걷어낸 지금부터는 고정 비용을 줄이는 것이 목표라서 내가 쓰는 폰 그대로 쓸 수 있고, 무약정에 가입비도 없으니 손해 볼 것도 없겠다 나도 한번 써볼까 싶었다. 

알뜰폰이란 가계 통신비를 줄이기 위한 정부 정책에 따라, 메이저 3사의 통신망을 도매가로 제공받아 품질은 그대로, 가격은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제도이다. 

알뜰폰을 운영하는 회사는 어떤 메이저 통신사의 통신망을 이용하는가에 따라서 나눠지며 정말 많은 회사들이 있다. 검색 포털에서 알뜰폰 Hub로 검색해서 나오는 사이트에서 가격과 혜택을 비교하여 결정할 수 있다.

알뜰폰은 통신망에 따라 나눠지며 정말 많은 회사가 있다.

나는 알뜰폰 중에 데이터 테더링이 유일하게 가능하고(테더링은 요금제의 데이터 한도 내에서 공유됩니다.), 올레 와이파이도 사용할 수 있는 ktM 모바일로 선택했다. 



ktM 모바일 알뜰폰 신청방법

1. 유심 구입하기

유심은 편의점(세븐일레븐, 미니스톱, 씨 스페이스)에서도 살 수 있는데, 나는 온라인으로 신청했다. 오전 중 신청하면 서울은 당일 배송된다. 'kt M 모바일 홈페이지 > 유심 가입 > 후불 유심'에서 신청서 작성하고 신청하면 된다.



2. 개통하기

우체국 택배로 유심이 도착했다. 유심용 핀과 세 가지 유심 어댑터가 함께 왔다.해피콜을 기다렸다가 해도 되고, 홈페이지에서 셀프로 바로 개통해도 된다. '유심 가입 > 셀프 개통 가입하기'에서 신청서를 다시 작성했다.

ktM 모바일 유심


이 때 본인인증을 해야 하는데, 신용카드나 범용 공인인증서만 된다. 나는 체크카드만 쓰는 사람이라 고민하다가 범용 공인인증서를 발급했다. 범용 공인인증서는 4,400원인데, 신청 후 7일 이내 폐지하면 전액 환불된다(신한은행 기준). 나는 본인인증만 하고 바로 인증서 폐지해서 환불받았다.

번호이동은 유심 배송 당일에 문자로 SKT에서 번호이동 사전 동의 안내 링크가 온다. 이걸 클릭하여 확인하거나, SKT에 전화하여 번호 이동 동의를 진행해도 된다.


3. 유심 장착 및 번호등록

그럼 내 폰에 SIM(유심)에서 음성이 허용되지 않음, 미인증 단말기라는 메시지가 뜬다.



유심을 끼우고 폰을 껐다 다시 키고, 번호등록을 누르면 끝이다. 번호등록이 실패했다고 뜨면 리부팅한 후 재진행하면 된다. 


번호 등록이 끝나면 유심 이동으로 기존 대비 품질이 차이 날 수 있다는 문자가 오고 번호 등록이 완료된다. 사용해보니 품질 차이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서비스 이용에 제한이 있는 경우도 없었다. 




삼성페이, PASS, 올레와이파이 설정

PASS 앱은 SKT용은 더이상 사용할 수 없으니 KT용 앱으로 새로 설치한다. 


SKT에서 kT M 모바일로 번호이동 시에 삼성페이가 안된다는 말이 있어 걱정했는데, 간단한 개인 정보 동의만 거치고도 (인증번호를 입력하지도 않았는데) 바로 사용이 가능했다. 삼성페이가 안되고 내 휴대폰 설정 > 휴대전화 정보에서 전화번호가 인식이 안되서 안 뜨고 있다면 이 문제는 유심 문제이니 고객센터에 전화해야 한다.

내 폰에 깔려있는 어플이나 사진 등은 유심과 상관이 없어서 다 날아가지 않을까 하는 걱정은 안 해도 된다. T 전화, T 맵, T 대중교통도 T 회원가입만 하면 SKT 유저가 아니라도 이용할 수 있다. 

KT올레 Wi-Fi는 SKT나 U+같은 타 통신사 이용자였다면 고객 센터에 전화(114로 하면 무료)해서 내 휴대폰의 Wi-Fi MAC 주소를 상담원에게 말해주고 따로 등록을 해야 한다. Wi-Fi MAC 주소는 '설정 > 휴대전화 정보 > 상태'에서 확인한다. 

Wi-Fi MAC 주소를 등록하면 자물쇠가 걸린 KT네트워크도 자동으로 연결됩니다.

뭔가 가입이 복잡하거나 어렵지 않을까 걱정했지만 간단하게 개통까지 완료했다. 올레와이파이 등록을 위해 고객센터에 전화를 따로 해야 하는 약간의 번거로움이 있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너무나 저렴한 가격이 모든 것을 상쇄시킨다. 나는 실용 USIM 0.9로 가입했고, 데이터 700MB에 통화 30분 제공으로 월 3,190원이다. 원래 3만 원 정도를 지출하고 있었으니까 약 1/10 수준으로 통신비를 줄인 셈이다. 이쯤 되면 왜 다들 알뜰폰 안 쓰는지 궁금할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