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영상에 여러 언어로 자막을 추가하는 가장 쉬운 방법

유튜브 자막 추가 방법

영상을 만들 때 자막을 넣으면 청각장애 또는 난청이 있는 시청자,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시청자 등 더 많은 시청자에게 영상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요즘은 시청자들이 자막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자막없이 제작되는 영상은 잘 없지요.

저는 영상 편집 프로그램으로 프리미어 프로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처음에는 텍스트 도구로 영상에 직접 자막을 넣었는데 영어 자막을 넣으려면 따로 번역해서 일일이 쳐야 하니까 작업 효율이 많이 떨어졌습니다. 그리고 자막이 영상과 합쳐져 있으니까 나중에 이 영상을 다시 활용할 일이 있으면 자막만 지울 수도 없겠더군요. 

영상에 자막을 추가하는 방법은 영상을 편집할 때부터 TYPE 도구로 영상에 직접 자막을 넣는 방법, 내 영상의 말소리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자막으로 생성하는 방법, 유튜브에 영상을 업로드한 후 영상을 보면서 직접 입력하는 방법, 자막 파일을 업로드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만약 저처럼 인식할 음성이 들어가지 않는 영상에 여러가지 언어로 자동 번역되어 보이길 원한다면 유튜브에 영상을 업로드한 후 영상을 보면서 직접 입력하거나, 자막 파일을 업로드하는 방법을 활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유튜브에 직접 입력하는 방법은 영상을 업로드할 때 동영상 요소 > 자막 추가에서 설정할 수 있고요, 이곳에서 직접 입력을 클릭하여 영상을 보면서 자막을 직접 입력할 수 있습니다. 이미 게시한 영상이라도 유튜브 스튜디오 > 동영상 세부 정보 > 자막에서 새로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도 있어요.

유튜브에 영상을 업로드할 때 영상을 보며 직접 입력할 수 있습니다.


저는 직접 영상을 보며 일일이 입력하는 방법이 좀 번거롭게 느껴졌습니다. 자막 위치와 길이를 조정하는 인터페이스가 별도의 영상 편집 프로그램처럼 그렇게 정교하지는 않은 것 같아요. 

영상 자막 파일이 있다면 파일 업로드에 업로드를 하면 끝이니까 훨씬 간단하긴 합니다. 그러면 자막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프리미어 프로에서 자막 파일 만들기

영상 자막 파일이 있다면 파일 업로드에 업로드를 하면 끝이니까 직접 치는 것보다 당연히 훨씬 간단합니다. 그러면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에서 자막 파일을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에서 Text 패널 > Captions > Create new caption track을 클릭하면 캡션 트랙 형식과 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는 팝업창이 뜹니다. 기본 형식은 자막(Subtitle)입니다. 확인을 클릭하여 새 캡션 트랙을 생성합니다. 

Create new caption track을 클릭하여 새 캡션 트랙을 생성합니다.


그러면 타임라인의 상단에 Subtitle이라고 되어있는 C1 트랙이 새로 생성됩니다. 

타임라인의 상단에 Subtitle이라고 되어있는 C1 트랙이 새로 생성됩니다.

다시 Captions 패널로 가서 십자 드라이버 모양의 Add new captions segment 버튼을 클릭하여 새로운 자막을 생성한 후 자막을 입력합니다. 

Add new captions segment 버튼을 클릭하여 새 자막을 생성합니다.

생성된 캡션 박스에 자막을 입력합니다.


캡션 박스 바로 뒤에 새로운 캡션을 생성하고 싶으면 캡션 박스 위에서 우 버튼을 클릭 > Add caption after를 클릭합니다. 또는 타임라인의 파란색 표시선(Current Time Indicator)을 원하는 위치에 옮긴 후 캡션 박스를 복사하여 붙여넣기한 후 Captions 패널에서 내용을 수정해도 됩니다. 

Add caption after를 클릭하면 캡션 박스 바로 뒤에 새로운 캡션이 생성됩니다.


Essential Graphics 패널에서 캡션의 글자 모양이나 색깔, 테두리 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다만 TYPE 도구처럼 다양한 폰트가 지원되거나 Effect의 다양한 그래픽 효과를 적용할 수는 없습니다. TYPE 도구로 자막을 작성하면 Text 패널 > Graphics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Graphics이라고 되어있는 데는 다 이유가 있는 것이죠. 

만약 예쁘게 디자인한 자막도 넣고 싶다면 TYPE Tool로 입력하는 작업을 추가로 해야 합니다. Captions 기능으로 작업한 걸 TYPE Tool로  복사해서 붙여넣기하는 기능은 없어요. 노가다죠. 예쁜 자막과 자동번역 자막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하는 편이 효율적인 것 같네요. 

Essential Graphics 패널에서 캡션의 글자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자막을 다 작성한 후, Captions > 오른쪽 점 세개를 클릭 > Export to SRT file을 클릭하면 유튜브에 업로드할 수 있는 자막 파일을 따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SRT 파일은 서브립 섭타이틀 파일(SubRip Subtitile File)이라고도 하는데 텍스트의 시작 및 종료 시간과 자막의 순차 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텍스트 파일입니다. 메모장으로 열어 내용을 확인해볼 수도 있어요. 

Export to SRT file을 클릭하여 SRT 자막 파일을 생성합니다.


유튜브에 영상을 업로드할 때 동영상 요소 > 자막 추가 > 파일 업로드에서 타이밍 포함 또는 타이밍 제외를 선택한 후 자막 SRT 파일을 업로드합니다. 동영상과 자막의 타이밍을 맞추려면 타이밍 포함을 선택하는 것이 좋겠죠. 그리고 게시를 클릭합니다. 

영상을 업로드할 때 자막 SRT 파일도 함께 업로드합니다.


유튜브 스튜디오에서 자막 > 밑에 언어 추가라고 되어 있는 파란색 버튼을 클릭하여 추가하고 싶은 원하는 언어를 선택합니다. 

유튜브 스튜디오에서 언어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자동 번역을 누르면 내가 올린 SRT 자막이 원하는 언어로 자동 번역되어 보여집니다. 확인해보고 혹시 이상하게 번역된 부분이 있다면 직접 수정하거나 자막 위치나 길이도 세부적으로 수정이 가능합니다. 

게시를 클릭하면 해당 언어가 모국어인 시청자가 나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됩니다. 너무 쉬워서 그런지 이걸 설명해놓은 글이 없어서 혼자서 해보고 몇 자 남겨봅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자동 번역' 기능을 이용하여 내가 올린 SRT 자막 파일을 원하는 언어로 자동으로 번역하여 삽입할 수 있습니다.